최근에 해외 직구를 하시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그리고 해외에서 직구한 물건을 취소하거나 교환, 환불하려고 다시 보내는 게 생각보다 쉽지 않다는 것을 알게됩니다.
또 배송료 같은 추가 비용 때문에 구매자가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도 많죠.
이런 해외 직구의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보다 가격이 더 저렴한 점, 그리고 최근에는 배송이 빨라지고 주문이 간편해진 덕분에 해외 직구의 인기는 여전히 뜨겁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해외 직구에서 많이 궁금해하시는 관세 기준과 세액 계산 방법에 대해 소개해 드리려고 해요.
해외직구 관세의 기본에 대해서
관세란 세관을 통과하는 화물에 부과되는 세금을 말해요.
이 세금은 외국에서 수입되는 물건에 부과되어 국내 산업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저렴하게 수입되는 물건에 관세를 부과하면 가격이 올라가서 국내산 상품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죠.
해외 직구를 통해 국내로 들어오는 상품에도 물론 관세가 부과되는데요.
개인이 자가 사용 목적으로 구매한 물품에 대해서는 조건에 따라 관세가 면세되기도 해요.
해외 직구 이용자는 관세와 부가가치세를 부담해야 하는데, 기본적으로 150달러까지는 면세가 적용됩니다.
FTA 특례법이 적용되는 경우 200달러까지 면세가 되기도 하지만, 이는 DHL, UPS, Fedex 등 일부 업체를 통해 배송되는 경우에 한정돼요.
국제우편으로 들어오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150달러까지 면세가 적용된답니다.
해외직구 관세의 계산 방법
관세는 상품의 과세 가격에 세율을 곱해서 계산해요.
여기서 과세 가격은 상품 가격에 운송비와 보험료 등을 합한 금액이랍니다.
일반적인 관세 계산 방법은 이렇습니다.
- 과세 가격 산정: 상품 가격 + 운송비 + 보험료
- 관세액 계산: 과세 가격 X 관세율
- 부가세 계산: (과세 가격 + 관세액) X 부가세율 (10%)
정리하자면, 최종세금은 (상품가격 + 운송비 + 보험료) X 관세율 X 10% 입니다.
해외직구 제품마다 다른 관세율
구매하는 제품마다 부과되는 관세율이 다릅니다.
많이 사는 종목의 세율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의류, 신발: 13% 가방, 악세서리: 8% 화장품: 6.5% 노트북, 휴대폰: 0% 시계, 카메라, TV: 8% 골프, 낚시, 수영용품: 8%
이와 같은 세율을 참고하여 해외 직구 시 정확한 관세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관세와 부가가치세를 고려하여 예산을 계획하면 더 효율적인 쇼핑이 가능하겠죠.
더 다양한 제품의 관세율을 확인하고 싶으시면, 관세청의 HS속성에서 제품별 관세율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HS코드(HS Code, Harmonized System)는 전 세계적으로 통일된 상품 분류 체계로, 이를 통해 각 제품에 대한 정확한 관세율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관세청 홈페이지에서 HS코드를 입력하거나, 해당 제품의 이름을 검색하여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더 정확하고 자세한 관세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을 거예요.
해외직구 통관 배제 물품 종류
목록통관 배제 대상 물품의 경우 일반 수입신고를 해야 합니다.
아래는 목록통관 배제 대상 물품의 예시입니다.
의약품, 한약재, 야생동물 관련 제품, 농림축수산물 등 검역 대상 물품, 건강기능식품, 식품류, 주류,
담배류, 전자제품, 화장품 (기능성 화장품, 태반 함유, 스테로이드 등), 지식 재산권 위반 의심물품 (짝퉁) 등
기타 배제 대상 물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관세청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를 통해 정확한 수입 절차를 확인하고, 불필요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납부 안했을 때 체납 압류와 과정, 대처 방법 총 정리 (0) | 2024.06.20 |
---|---|
소변 때문에 잠이 깨는 이유와 해결방법 (0) | 2023.02.23 |